김민혜 변호사는 KAIST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과 산업 및 시스템공학을 복수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였습니다. 공학적 전문성과 법률 지식을 결합하여 블록체인, 인공지능, 마이데이터, 헬스케어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사업 분야의 기업 및 스타트업에 대한 전문적인 법률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 기반 스타트업 및 중견기업들을 위한 기업법무 자문, 개인정보보호 및 데이터 활용 관련 규제 검토, 기술 기반 기업 인수합병 및 투자계약 검토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기술과 관련된 복잡한 규제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실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데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기술과 법률의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법적 이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결하여 의뢰인의 기술혁신과 사업 성장을 법적으로 뒷받침하며, 현재 법무법인 디엘지에서 변호사로서 블록체인, 인공지능, 마이데이터, 헬스케어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사업 분야의 기업 및 스타트업을 위한 전문적인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업무사례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기업 개인정보 취급 자문
AI 기반 헬스케어 기업 개인정보 처리 자문
의료용품 제조 기업 독점판매권 관련 분쟁 대응
기술 기반 기업 공동연구개발계약 검토
기술 기반 기업 기술실시계약 및 기술이전계약 검토
IT기업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용역계약 중단에 따른 분쟁 대응
AI 에이전트 개발 기업 AI 마케팅 플랫폼 사업협약 검토
제조업 기업 오픈소스 컴플라이언스 자문
서울시 소재 신산업 분야 중소기업 규제해소 지원
다수의 주식매매계약 및 신주인수계약, 주주간 계약 검토
경력
법무법인 디엘지 변호사 (2022.03 - 현재)
창업진흥원 아기유니콘 200 규제샌드박스 자문위원 (2024.01 -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 법률자문단 (2024.01 - 현재)
민간주도형 기술창업지원사업(TIPS) 평가위원 (2024.01 - 현재)
학력
[2023.12]
KIAS 가명정보 전문가 과정 수료
[2021.02]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2016.02]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공학석사 취득
[2014.02]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공학학사 취득
자격
[2022.01]
변호사 (제11회 변호사시험 합격)
언어
한국어
영어
저서/논문
"대규모 언어모델을 활용한 단계별 누적 프롬프팅 방법론의 법률 도메인 적용", 정보과학회논문지, 2024년
"법률적 설명을 제공하는 정관 자동 검토 시스템 개발", 정보과학회지, 2024년
"Amnesiac DRAM: A Proactive Defense Mechanism Against Cold Boot Attacks", IEEE Transactions on Computers, 2021년
"Energy-efficient design of processing element f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II, 2017년
"Crosstalk Avoidance Code for Direct Pass-Through Architecture",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 2016년
"A 1.42TOPS/W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ecognition Processor for Intelligent loE Systems",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 Conference, 2016년
"Locality aware MAC for energy-efficient CNN accelerator", CNN 가속기를 위해 지역성 정보를 활용한 저전력 MAC,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