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G in the News

[언론보도] “M&A 복잡해지고, 지배구조 리스크 커질 것”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5-08-29

본문

상법 개정과 정부 정책의 변화는 스타트업과 상장사의 M&A 거래 절차, 비용, 성공 가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업은 강화된 주주권 보호 기조에 맞춰 공정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 전략적 준비가 필요하다. 

 

이재한 KPMG 상무는 법무법인 디엘지가 최근 개최한 ‘개정 상법 대응 및 최근 M&A, IPO 동향과 전략’ 세미나에서 ‘이재명 정부 정책 하의 M&A 전략’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이렇게 지적했다. 그는 “개정 상법의 정책 방향은 소수주주 보호와 투명경영 강화를 통한 지배구조 개선에 있다”고 설명했다. 

 

(중략)

 

마지막으로 그는 행동주의 펀드의 증가를 주목하며, “소액주주 권리의식 강화와 주주 행동주의 확대는 상장사에 잦은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투명한 거버넌스 체계와 선제적 소통, 방어전략 마련이 기업의 M&A 성패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상무는 “단기적으로는 M&A가 복잡해지고 거래 비용과 리스크가 증가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자본시장 활성화, 투명성 강화, 혁신 자본 유입이라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기업은 IPO와 M&A 전략 수립 과정에서 변화하는 정책 환경을 면밀히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 보러가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