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Skip to content

[기고] 딥시크에 대응하는 대한민국 전략 [윤석빈의 Thinking] – 윤석빈 고문

2025. 02. 10

최근 대한민국의 여러 공공기관이 딥시크(DeepSeek) 서비스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를 내린 것은 국가 안보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예방적 조치로 이해된다. 딥시크가 인공지능(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의 기기 정보와 IP,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우려의 원인이다. 이에 따라 국방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주요 공공기관은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공문을 배포했다.

(중략)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패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대한민국은 AI 연구개발, 반도체 및 인프라 투자, 데이터 주권 강화, 글로벌 협력 등을 통해 AI 산업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또한 딥시크와 같은 외부 AI 서비스에 대한 대응은 보안과 혁신 사이의 균형을 고려해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이를 통해 국가 안보를 지키면서도 기술 발전의 흐름에 뒤처지지 않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AI는 단순한 기술 경쟁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므로 정부와 기업, 학계가 협력해 장기적인 AI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지속 가능한 AI 혁신을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관련 키워드